요즘 주변 지인들과 만나면 “집값은 언제쯤 오를까?” 하는 이야기가 빠지지 않는데요. 현장에서 보는 시각은 지역별로 차이가 있어 더 자세히 알아볼 필요가 있습니다. KB금융그룹이 최근 발표한 ‘2025 KB 부동산 보고서’를 바탕으로 올해 부동산 시장의 흐름을 분석해보겠습니다.
2025년 부동산 시장, 전문가들은 어떻게 내다보는가?
저도 언제 집을 사야 할지 고민하다가 전문가들의 의견이 궁금해졌는데요. KB금융그룹이 부동산 전문가, 공인중개사, 자산관리 전문가(PB) 등 700여 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조사 결과를 보니 생각보다 냉정한 전망이 많았습니다.
이 보고서는 현장에서 활동하는 전문가들의 생생한 목소리를 담고 있어 더욱 신뢰할 만한데요, 오래된 정보로 작성된 글들이 많은 가운데 2025년 최근 시장 동향을 정확히 반영한 자료라 더욱 의미가 있습니다.
집값, 올해도 하락 전망이 우세… 전세가격은 상승 예상
2025년 주택 매매가격 전망에 대해 부동산전문가의 62%, 공인중개사의 79%, PB의 62%가 하락을 점쳤습니다. 특히 공인중개사의 하락론 비중이 컸는데, 이는 최근 현장에서의 거래 위축이 반영된 결과로 보입니다.
지역별로 보면 더 흥미로운 차이가 나타나는데요, 비수도권 주택가격은 하락 전망이 주류를 이뤘지만, 수도권은 전문가들 사이에서도 의견이 갈렸습니다.
구분 | 수도권 전망 | 비수도권 전망 |
---|---|---|
부동산 전문가 | 54% 상승 예상 | 84% 하락 예상 |
공인중개사 | 56% 하락 예상 | 71% 하락 예상 |
반면 전세가격에 대해서는 상승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했습니다. 부동산전문가의 62%, 공인중개사의 61%가 전국 주택 전세가격이 오를 것으로 예상했어요.
지역별로는 수도권 전세가격에 대해 부동산전문가의 70%, 공인중개사의 68%가 상승을 전망했습니다. 비수도권 전세 시장은 상승과 하락 전망이 팽팽하게 맞서고 있어 지켜볼 필요가 있겠네요.
부동산 시장 회복 시기, 수도권과 비수도권 차이는?
집값이 언제쯤 다시 오를지 궁금한데, 지역별로 회복 시기가 달라질 것 같아요. 수도권과 비수도권의 회복 시기에 대한 전망도 차이가 있어 눈여겨볼 만합니다.
지역 | 부동산 전문가 전망 | 공인중개사 전망 |
---|---|---|
수도권 | 38%는 2026년 36%는 2025년 하반기 | 41%가 2025년 하반기 |
비수도권 | 35%는 2026년 35%는 2027년 | 44%가 2026년 |
KB경영연구소 강민석 박사는 “주택시장은 2022년 하반기 이후 상승과 하락을 반복하는 상황이 지속되고 있고, 이러한 시장 흐름은 올해도 이어질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특히 강민석 박사는 “올해 주택시장의 가장 큰 변수는 정부의 정책이 될 가능성이 높다”며 “대출 규제와 공공 주도의 공급이 미치는 영향이 클 수 있다”고 강조했어요. 실수요자 중심의 현재 시장에서 대출 규제가 중요한 변수가 될 것이라는 점, 3기 신도시 등 공공 주도 공급의 영향력에 주목할 필요가 있겠습니다.
2025년 유망 부동산 투자 대상은?
투자는 어디에 해야 할지, 무엇이 가장 유망할지 고민하는 분들이 많으실 텐데요. 올해 부동산 투자자들이 주목해야 할 대상에 대해 전문가들의 의견을 들어봤습니다.
신축 아파트와 분양 아파트가 강세
2025년 유망 부동산 투자 대상으로는 부동산전문가, 공인중개사, PB 모두 준공 5년 이내의 신축 아파트와 분양아파트를 추천했습니다.
유망 투자 대상 | 부동산 전문가 | 공인중개사 | PB |
---|---|---|---|
신축 아파트 (준공 5년 이내) | 29% | 26% | 25% |
분양 아파트 | 30% | 22% | 28% |
흥미로운 점은 2024년 조사 결과와 비교해 신축과 분양아파트 투자 선호도가 더 높아졌다는 점입니다. 특히 부동산전문가와 PB의 올해 신축아파트 응답비율이 작년보다 크게 늘었어요.
반면 재건축 아파트에 대한 선호도는 작년 조사보다 눈에 띄게 감소했습니다. 공사비 상승이 주요 원인으로 보이는데, 지난해 PB 조사에서 투자 유망 부동산 1위였던 재건축 아파트가 올해는 3위로 두 단계나 떨어졌습니다.
아래 버튼을 클릭하셔서 꼭 최신 부동산 시장 동향을 확인해보세요. 투자 결정에 도움이 될 것입니다.
고액자산가들의 부동산 투자 전략
우리나라 부자들은 어떤 투자를 선호할까요? PB들의 응답에 따르면, 고액자산가들이 선호하는 투자 자산은 채권(29%), 부동산(21%), 주식(19%)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지난 조사에서 가장 선호도가 높았던 예금은 올해 조사에서 4위로 떨어졌어요. 채권과 주식 선호도는 크게 올랐고, 부동산 선호도는 지난해 23%에서 올해 21%로 소폭 하락했습니다.
특히 주목할 점은 고액자산가들의 상담 내용입니다. 지난해 고액자산가들은 부동산 세무(39%) 상담을 가장 많이 했으며, 보유 부동산 처분(24%)과 수익형 부동산 구입(19%)이 뒤를 이었어요.
보유 부동산 처분 상담 응답률은 2022년 16%에서 2023년 22%, 2024년 24%로 꾸준히 상승하고 있습니다. 부동산시장의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자산가들 사이에서 보유 부동산 처분에 대한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는 분석이 나옵니다.
처분 희망 부동산, 상가와 일반 아파트 중심
처분을 희망하는 부동산으로는 상가(35%)와 일반 아파트(27%)가 가장 많았습니다. 지난해 조사보다 상가 처분을 희망하는 응답자 비율이 크게 상승했는데요, 이는 상업용 부동산 시장의 침체와 관련이 있어 보입니다.
실제로 2024년 상업용 부동산 거래량은 전년 대비 11.6% 감소한 4만6천 건을 기록했습니다. 2021년 9만6천 건으로 고점을 찍은 후 3년 연속 감소세를 보이고 있어요.
작년 상업용 부동산 평균 매매가격은 수도권이 0.9%, 비수도권이 8.3% 하락했습니다. 거래가 줄고 가격이 하락하면서 시장은 경기 순환상 침체기 흐름을 보이고 있습니다.
부동산 투자자들의 후기
⭐⭐⭐⭐⭐ “작년에 신축 아파트에 투자했는데, 주변 시세에 비해 안정적인 가치를 유지하고 있어요. KB 부동산 보고서의 전망이 정확했다고 생각합니다.” – 40대 투자자
⭐⭐⭐⭐ “수도권과 비수도권의 회복 시기 차이를 고려해 투자 전략을 세웠더니 리스크 관리에 도움이 많이 됐습니다. 전문가들의 의견을 무시할 수 없겠더라고요.” – 50대 자산가
⭐⭐⭐⭐⭐ “상가건물을 처분하고 신축아파트로 갈아탔는데, 지금까지는 만족스러운 결정이었습니다. 시장 전망을 꾸준히 체크하는 게 중요하다는 걸 깨달았어요.” – 60대 투자자
자주 묻는 질문
Q: 2025년에 집을 사는 것이 좋을까요?
A: 전문가들의 의견을 종합해보면, 수도권은 이르면 2025년 하반기부터 회복 조짐을 보일 수 있지만, 비수도권은 2026년 이후에야 회복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실수요자라면 자금 여력과 거주 필요성을 고려해 결정하되, 투자 목적이라면 신축 아파트나 분양 아파트를 중심으로 검토해보는 것이 좋겠습니다.
Q: 전세 가격이 오를 것으로 예상되는데, 전세로 집을 구하는 것이 좋을까요?
A: 수도권을 중심으로 전세가격 상승이 예상되므로, 전세 계약을 고려 중이라면 가능한 빨리 결정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습니다. 다만, 지역별로 상황이 다를 수 있으니 해당 지역의 시세 변동을 면밀히 살펴보고 결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마무리
2025년 부동산 시장은 수도권과 비수도권의 차별화가 더욱 뚜렷해질 전망입니다. 매매가격은 전반적으로 하락 압력을 받는 가운데, 전세가격은 상승할 가능성이 높아 보입니다.
부동산 시장의 회복 시기는 수도권이 비수도권보다 앞설 것으로 예상되며, 투자자들은 신축 아파트와 분양 아파트에 더 많은 관심을 보이고 있습니다.
KB금융그룹의 부동산 보고서는 1986년부터 발표되고 있는 주간·월간 주택가격 동향조사를 바탕으로 하고 있어 신뢰도가 높습니다. 부동산 투자를 고려하고 계신다면, 이러한 전문가들의 의견을 참고하여 신중하게 결정하시길 바랍니다.